본문 바로가기

생활에 필요한 복지 한숟갈

가족이 아이 키우면 서울시가 돈 준다? 조부모 돌봄 수당의 모든 것

목차

1. 서울에서 시작된 조부모 돌봄 수당, 나도 신청할 수 있을까?
2. 왜 지금, 조부모 돌봄 지원이 중요한가
3. 누가 신청할 수 있나: 지원 대상과 자격 조건
4.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 조부모 수당 금액 정리
5. 신청은 어떻게? 간단한 절차와 필요한 서류
6.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


조부모 돌봄지원 제도

 

 

 

 

 

1. 서울에서 시작된 조부모 돌봄 수당, 나도 신청할 수 있을까?



며칠 전, 엄마에게서 전화 한 통이 왔습니다.

 


“너 요즘 애 보느라 힘들지? 그 조부모 수당, 우리도 신청할 수 있대.”



처음엔 반신반의했습니다. 복잡하고 서류도 많을 것 같고, 부모님 연세도 있는데 굳이 신청까지 시켜야 하나 싶었죠. 

 

 

 

그런데 자세히 알아보니,

 


서울시가 2025년부터 본격적으로 시행하는 ‘조부모 돌봄 지원제도’, 이건 단순한 지원이 아닙니다. 

 

 

‘가족이 가족을 돌보는’ 이 당연한 일이 이제야 제도적으로 인정받는 세상이 온 거죠.

 


이 글에서는 제가 실제로 조부모 돌봄 수당을 알아보고 신청하려 했던 과정을 바탕으로, 

 

 

이 제도가 왜 중요한지, 누가 어떻게 신청할 수 있는지를 진짜 경험자 입장에서 풀어드릴게요.

 

 

 

 

 

2. 왜 지금, 조부모 돌봄 지원이 중요한가

 


하루는 아이 어린이집 보내고, 퇴근하자마자 뛰어와 밥하고 씻기고, 재우고 나면 하루가 끝나요. 

 

 

문제는, 아이가 아플 때예요. 맞벌이 부부에겐 진짜 재난이죠.

 


그런데 그때마다 엄마가 도와주셨어요.

 


“얘, 애 봐주는 건 당연한 거지, 뭘 그렇게 미안해해.”

 


하지만 ‘당연하다’고 넘기기엔, 육아 너무 힘들잖아요.

 

 

그건 당연한 게 아닙니다. 이제는 사회가, 제도가 함께 나눠야 할 몫입니다.


아이 키우는 일, 부모 혼자만의 책임이 아니고, 조부모의 역할은 이제 단순한 ‘도움’이 아닌 ‘돌봄 노동’입니다.

 


이건 단순한 수당이 아니라, 가족 내 돌봄을 사회가 책임지는 첫 걸음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 누가 신청할 수 있나: 지원 대상과 자격 조건



자격 조건을 들여다보면, 생각보다 까다롭진 않지만 몇 가지 기준은 있습니다.



가족 조건

아이와 부모가 모두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.

아이는 만 24~36개월 사이의 영아여야 하고요.



돌봄 조건

조부모 또는 4촌 이내 친척이 한 달에 최소 40시간 이상 아이를 정기적으로 돌봐야 합니다.

주 5일, 하루 2시간 이상이면 기준 충족이에요.



가구 조건

맞벌이 가정, 한부모 가정, 다자녀 가정 등 양육 공백이 있는 경우에 해당됩니다.



소득 기준

중위소득 150% 이하인 가정이 대상입니다.

예를 들어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914만 원 이하라면 신청 가능합니다.

특이할 점은, 맞벌이 부부는 소득에서 25% 경감을 적용받습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4.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 조부모 수당 금액 정리


돈 이야기는 현실적으로 중요한 부분이죠.

 


서울시는 아이 수에 따라 월 30만 원~60만 원까지 차등 지급합니다.



👶 아이 1명 돌봄: 월 30만 원
👶👶 아이 2명 돌봄: 월 45만 원
👶👶👶 아이 3명 이상: 월 60만 원



그렇다면 이건 누가 받냐고요? 바로 조부모 본인의 통장으로 입금됩니다.

 


이 수당은 단순히 돈이 아니라, 조부모가 해온 돌봄을 ‘일’로 인정하고 보상하는 의미를 담고 있어요. 

 



 

 

 

 

 

 

5. 신청은 어떻게? 간단한 절차와 필요한 서류



먼저 온라인 신청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. 다행히 과정은 꽤 간단했습니다.



1. 서울시 ‘몽땅정보 만능키’ 접속

2. ‘조부모 돌봄 신청’ 메뉴 클릭

3. 신청서 작성 + 서류 업로드

4. 1~2주 후 문자 또는 이메일로 결과 통보

 



오프라인이 편하시다면, 주민센터 사회복지과 방문 신청도 가능합니다.

<제출 서류>

- 신청서
- 가족관계 확인용 등본
- 조부모 통장 사본
- 돌봄 시간 계획표 (아주 간단하게 써도 돼요)
- 맞벌이 증빙 자료 (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등)



 

 

 

 

6.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


하지만 그냥 신청만 한다고 다 주는 건 아닙니다.


주의해야 할 몇 가지 제약 조건이 있습니다.

 


🚫 40시간 이상 돌봄 필수

한 달 40시간을 넘겨야 수당을 받을 수 있어요. 그 이하일 경우엔 전액 지급 불가입니다.

 


🚫 중복 지원 안 됨

어린이집 보육료나 다른 돌봄 서비스와 동일 아동에 대해 중복 지급 안 됩니다.

 


🚫 가족 한 명만 가능

조부모가 부부라 하더라도 한 명만 신청 가능해요. 둘 다 신청하면 안 되고, 선정 기준도 조부모 중 1인으로 제한돼요.

 


🚫 거짓 신청 시 3년간 제한

허위로 시간을 부풀리거나 자격이 안 되는데 신청할 경우, 수당 환수는 물론이고 최대 3년간 신청 불가입니다.

 

 


신청 전에 꼭 서울시 홈페이지나 주민센터에 문의해서 최신 정보를 다시 확인하길 추천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