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생활에 필요한 복지 한숟갈

실업급여부터 실업크레딧까지, 정부 지원 100% 활용법

목차

1.실직 이후, 정부 지원제도부터 체크하세요
2.실업급여: 생계 안정을 위한 첫 지원
3.구직촉진수당: 취업을 부르는 월 50만 원
4.실업크레딧: 국민연금 공백을 막는 마지막 퍼즐
5.실직 후 살아남는 전략과 실행 순서


실업급여, 구직촉진수당, 실업크레딧


1. 실직 이후, 정부 지원제도부터 체크하세요


“진짜... 나 이제 뭐하지?”

 


퇴사 통보를 받고 첫 출근을 안 한 날. 저는 아침에 일어나서 한참을 멍하니 앉아 있었습니다. 

 

 

가족들 얼굴이 떠오르고, 대출 생각이 나고, 뭔가 해야 할 것 같은데 어디서부터 시작해야 할지 모르겠더라고요.

 

 

하지만, 진짜 다행인 건 정부가 마련한 최소한의 안전망이 있다는 겁니다.

 

 

실업급여, 구직촉진수당, 실업크레딧… 이름은 낯설지만 이 제도들이 제 삶을 버틸 수 있게 해줬습니다.

 

 

지금 그 정보를 찾고 계신 당신에게, 실직 후 가장 먼저 알아야 할 정부 제도를 제가 경험한 순서대로 공유합니다.

 

 

이건 단순한 정보가 아니라, 살아남기 위한 실전 매뉴얼입니다.

 

 

 

 

2. 실업급여: 생계 안정을 위한 첫 지원


퇴사 통보받고 제일 먼저 한 일은 고용센터 예약이었습니다.

 


"무조건 빨리 신청해야 한다"는 선배의 말이 떠올랐죠.

 


왜냐고요? 신청이 늦으면 한 푼도 못 받거든요.

 

 

실업급여, 누구에게 필요한가요?

• 비자발적 퇴사자 (권고사직, 계약 종료 포함)


• 고용보험에 180일 이상 가입했던 사람


• 실제로 구직 활동이 가능한 상태여야 합니다.


저는 계약만료 퇴사였고, 고용보험 가입 기간도 넉넉해서 문제없이 통과됐습니다.

 


2025년 핵심 변화

• 하루 하한액 64,192원, 상한액 66,000원, 월 하한액 약 192만 원까지 지급


• 최소 120일 ~ 최대 300일까 수급


• 퇴사 다음 날부터 12개월 안에 신청해야 수급 가능

 


실업급여 받는 방법 (제가 직접 겪은 순서)


1. **고용보험 사이트(또는 Work24)**에서 ‘구직신청’ 후, 수급자격 신청서를 제출.

2. 실업인정 교육(온라인 또는 오프라인) 수강.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하며, 최근에는 온라인 과정도 제공.

3. 구직활동 내역 정리 및 제출: 2~4주 단위로 구직(재취업) 활동 실적을 홈페이지나 고용센터에 제출.

    • 일반 수급자는 1차, 4차, 8차 실업인정일에는 고용센터 직접 방문, 나머지는 온라인 제출이 가능.

    • 반복 수급자는 매 실업인정일마다 출석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3. 구직촉진수당: 취업을 부르는 월 50만 원

실업급여 자격이 안 되거나, 소득 기준이 낮다면 이 제도가 구세주가 됩니다.

 


제 친구가 딱 이 케이스였어요. 20대 후반, 1인 가구, 계약직 퇴사.

 


실업급여는 탈락, 대신 구직촉진수당 6개월 수령했죠.

 


구직촉진수당은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요?


• 기준 중위소득 60% 이하


• 최근 2년 내 100일 이상 근무


• 구직 의지가 있는 청년 및 저소득층


이 제도는 단순한 현금 지원이 아닙니다.


심리상담, 취업 컨설팅, 직업훈련까지 같이 묶여 있어요.

 

 

월 2회 이상 ‘구직활동 증명’은 필수!


제 친구는 면접 결과 메일과 입사지원 스크린샷을 캡처해 제출했습니다.


고용센터가 꼼꼼히 확인하기 때문에 허위 자료는 절대 금물!

 

 

 

 

 

4. 실업크레딧: 국민연금 공백을 막는 마지막 퍼즐


실직 상태가 길어지면, 국민연금도 끊깁니다.

 


‘나중 일’ 같지만 저는 진심으로 이 제도가 미래 연금에 결정적이라 느꼈어요.

 


실업크레딧, 왜 중요한가요?


• 실업급여 수령 중인 사람에게


• 국민연금 보험료의 75%를 정부가 대신 납부


• 본인은 25%만 부담하면 됩니다.


1년간 국민연금 공백 없이 유지하는 건 꽤 큰 차이를 만듭니다.


제가 직접 해보니, 신청은 생각보다 간단했어요.

 

 

실업크레딧 신청 꿀팁


• 국민연금공단 홈페이지 또는 지사 방문


• 구직급여 수급 사실 확인서 필수


• 구직급여 종료 다음 달 15일까지 무조건 신청

 

 

 

5. 실직 후 살아남는 전략과 실행 순서


실직은 당황스럽고 낯선 일이지만, 제도만 잘 알고 움직이면 훨씬 덜 두렵습니다.

 


저는 다음 순서로 움직였고, 지금은 안정적인 회사에 재취업한 상태예요.

 


실직 후 실행 전략

1. 실업급여 수급 자격 확인 → 고용보험 사이트로


2. 실업급여 대상이 아니면 국민취업지원제도 확인


3. 실업급여 수급 중이라면 실업크레딧 꼭 신청


4. 워크넷 + 잡코리아 + 고용센터 프로그램 병행


5. 국민내일배움카드로 직업훈련과 병행해서 재취업 확률 높이기